약물전달을 위한 엑소좀 연구
엑소좀(exosomes) 및 미세소포(microvesicles)와 같은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는 다양한 세포유형에 의해 방출되며 생리학적 및 병태생리학적 과정에 참여한다. 이러한 특성의 결과로, EV는...
ASO 기반 신경정신질환 치료제 개발
□ ASO 개발역사 ◾ 기반기술의 발전 1960년대 초에 위스콘신대 Har Gobind Khorana 교수가 핵산분자를 합성하였다. Khorana 교수는 세포핵의 유전물질이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된 연구로 1968년...

미주신경 초음파자극의 염증반사조절 연구
퍼듀대 Pedro Irazoqui 교수팀은 미주신경 저강도집중초음파자극 (ultrasound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uVNS)의 염증반사조절 연구결과를 2019년 2월 Ultrasound in Medicine에...

삼차신경자극의 무의식 환자 각성 연구
중국 중산대학 (Sun Yat-Sen Univ.)의 차오 마 (Chao Ma) 교수팀은 삼차신경자극 (trigeminal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TNS)으로 혼수상태에 있던 환자의 각성에 관한 사례를 2019년 3월...

tACS 효과의 기전 연구
벨기에 뢰벤 가톨릭대학교 Myles Mc Laughlin 교수팀은 경두개 교류 자극(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tACS) 모터 시스템 효과는 말초 신경의 경피적 자극으로 야기될 수 있다는...

피질뇌파 기반 음성합성 연구
UCSF의 Edward Chang 교수팀은 뇌피질의 활동으로부터 음성을 합성하는 연구결과를 2019년 4월 Nature에 발표[1] 언어장애환자들을 위하여 빰에 있는 근육을 기본으로 음성을 합성하는 현재의 기술은 글자를 한자씩 타이프하여야하므로...

성호르몬 생성 효소와 성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일본 RIKEN Yasuyoshi Watanabe 박사팀은 성호르몬 생성효소와 성격과의 관계에 관한 여구결과를 2018년 11월 Scientific Reports에 발표 [1] 연구진은 안드로겐(남성로흐몬)을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으로 전환시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