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증 환자의 뇌기능 네트워크 연구
벤더빌트대 Kimberly M.Albert 박사팀은 우울증 환자의 뇌기능 네트워크 연구결과를 2019년 1월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에 발표[1] 연구진은 실행조절회로(executive control network; ECN)들 사이의 연결성 그리고 실행조절회로와 기본상태회로(default mode network; DMN) 사이의 연결성과 기억력과의 관계가 우울증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 DMN 사이의 연결성과 기억력과의 관계는 우울증에서 낮게 나타남 이 연구는 뇌기능테트워크의 연결성이 인지 기능과 차별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제시 Albert, Kimberly M., et al. "Brain network functional conne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10 (

인지 증강의 미래 연구
영국 Esses대 Ricardo Poli교수팀은 뇌과학기술의 미래에 관한 연구결과를 2019년 1월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에 발표[1] 연구진은 지난 20년간 의 기술 발전과정, 그 기술에 관한 연구 출판물의 수와 관련 미래 연구 등을 기반으로 향후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는 로드맵을 개발 2040년까지 통신 및 제어를 위한 BCI는 은밀한 의사 소통이 필요한 영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신경자극에 의한 증강이 일상화될 정도로 발전할 것 같으나 미래의 연구에서 심한 영구적인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 현재의 엄청난 확장이 갑자기 중단될 가능성도 제기됨 Cinel, Caterina, Davide Valeriani, and Riccardo Poli. "Neurotechnologies for Human Cognitive Augmentation: Current State of t

환각제의 작용 연구
쮜리히 대학 Franz X. Vollenweider 교수팀은 환각제의 작용연구결과를 2019년 1월 PNAS에 발표 [1] 이 연구에서는 시상 (thalamus, Thal), 복부 선조체 (ventral striatum, VS) 후대상피질 (posterior cingulate cortex, PCC), 그리고 측두엽 피질 (temporal cortex, Temp) 간의 연결성을 조사 연구를 위하여 위약대조군 (placebo, Pla), 환각효과를 억제하는 선택적 세로토닌 2A 수용체 길항제 (Ketanserin) 투약후 LSD 투여자, LSD 투여자의 연결성을 비교 연구결과 환각제는 Thal에서 VS, PCC에서 VS로의 연결성을 증가시킨 반면, VS로부터 Thal, PCC 및 Temp로의 연결성은 감소시킴 또한 LSD는 VS에서 Temp, Thai에서 PCC 및 VS로의 연결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 변화는 Ketanserin에 의해

인공관절의 손목 움직임 회복 연구
스웨덴 Chalmers대 Max Ortiz Catalan 교수팀은 인공관절의 손목 움직임 회복 연구결과를 2018년 11월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에 발표 [1] 손목 회전은 문 손잡이, 스크루 드라이버, 밥솥의 손잡이 사용 및 종이 뒤집기 등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필수적인 운동인데, 현재 보철 기술은 손의 위치나 움직임에 대한 감각 피이드백이 없어 이 문제에 대해 제한된 완화만을 제공 연구개발한 기술은 Integrum사가 개발한 골융합 임플란트 시스템을 팔뚝의 두 뼈에 삽입 손목과 같은 인공관절이 이 두 임플란트와 인공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직관적인 자연스러운 제어와 감각적 피드백을 통해 훨씬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허용 절단의 정도에 따라 손목 회전을 위해 대부분의 생물학적 액추에이터와 센서를 사용할 수 있어서 열쇠를 돌릴 때 느낌

DeTOP 프로젝트
DeTOP (Dexterous Transradial Osseointegrated Prosthesis with neural control and sensory feedback)은 EU가 자금을 지원하는 공동 프로젝트 자연 손의 기능을 재현할 수 있는 팔다리 보철물의 기술 개발을 목표로 Horizon 2020의 지원을 받아 2016년부터 4년간510만 유로의 연구비로 Sant'Anna 연구소, Goeteborgs대, Lund대, Essex대와 Integrum사가 공동으로 절단 후 손 기능 회복의 과학적, 기술적 및 임상적 문제를 연구중 2019년 2월에는 손 절단 수술을 받은 스웨덴의 여성환자는 인공 보철물을 제어하기 위해 신경근 이식 수술을 처음으로 받음 이 수술에서 티타늄 임플란트는 전극과 신경을 연결하여 로봇 손을 제어하고 촉각 감각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전극과 반경의 두 개의 전완부 뼈 (반경 및 척골)에 삽입 이것은 실생활에서

cingulum 번들의 전기자극 행동효과 연구
에모리 의대 Jon T. Willie 교수팀은 뇌의 백질영역인 대상다발 (cingulum) 번들의 직접적인 전기자극의 행동효과 연구결과를 2018년 12월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발표 [1] 뇌수술중 중요한 뇌기능을 보호하려면 환자는 깨어있어야 하는데 공황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음. 이 때 cingulum 번들 자극으로 환자가 즉시 행복하고 편안한 느낌을 느낌 cingulum 번들 자극의 위치는 우울증과 중독의 치료를 목표로 한 복부 선조체 (ventral striatum)과 같이 보상을 처리하는 영역과 다름 cingulum 번들은 복잡한 감정적인 반응을 조정하는 뇌 영역간의 연결점으로서 불안, 기분 및 통증 장애에 대한 만성 DBS의 새로운 표적이 될 가능성을 제시 [1] Bijanki, Kelly R., et al. "Cingulum stimulation enhances positive a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