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Consortium for Young Adulthood Depression (RC-YAD)

KAIST 의과학대학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전산학부, 서울대학교 의학과/ 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안암병원, 가천대학교 의학과/ 가천길병원

  • Research Consortium

    • KAIST 연구팀
    • 서울대 연구팀
    • 고려대 연구팀
    • 가천대 연구팀
  • Researchers

  • 연구 참가

    • Contact Us
    • Q & A
  • KNI

  • 뇌과학산업 동향

  • More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BCI 시장 전망

    BCI 시장 전망

    BCI는 뇌와 주변장치 간의 직접적인 통신 경로를 용이하게 하는 혁명적인 시스템 BCI 시장은 헬스케어,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통신, 국방, 우주 항공 및 홈 오토메이션 등이 주요 시장이며 뇌파(EEG). 피질뇌파 (Electrocorticography, ECoG), 근적외선 분광법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 자기공명영상 (fMRI), 뇌좌도 (MEG) 등의 기술이 주로 사용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및 불면증과 같은 만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치매 및 신경 퇴행성 질환이 증가 신체마비 및 장애인이 신체적 인문제를 극복하고 다양한 일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면서 의료분야가 BCI 시장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대두 의료 분야 다음으로는 모바일 및 가상 게임 분야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Transparency Market Research는 BCI
    신경재활기기 시장 전망

    신경재활기기 시장 전망

    신경재활기기는 재활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치료기기중 하나로 외상성 뇌 손상, 다발성 경화증, 간질, 파킨슨병, 뇌종양 및 뇌졸중과 같은 상해 및 질병으로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상실한 환자들에게 사용 신경재활기기 시장은 제품 유형을 기반으로 신경로봇기기, 비침습 자극기, 착용식기기 및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로 분류 노인 인구의 증가, 신경재활용품 및 로봇의 급증, 신경 질환의 현저한 증가, 신경재활기기의 기술적 진보 등이 시장성장동인으로, 신경재활기기의 높은 가격이 성장의 저해요인으로 제시됨 기술발전으로 사용의 용이성 향상 및 대량생산에 의한 가격인하 등으로 대중화가 이루어지면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됨 Zion Market Research는 2017년 신경재활기기 시장 규모를 12억 달러로 추정하고, 15.3%의 연평균 성장률로 2024년에는 32억 달러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1] 시장성장 전망은 시장예측회사마다 약간의 차이가
    알코올의 공감 촉진 연구

    알코올의 공감 촉진 연구

    일본 도쿄대 Yuji Ikegaya (池谷裕二) 교수팀은 알코올이 공감을 촉진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연구결과를 2018년 8월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 [1] 연구팀은 공포를 느낀 쥐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공감을 조사하는 실험을 실시 전기 충격을 받은 쥐의 모습을 본 다른 쥐가 움직임을 멈추는 시간이 알코올을 섭취한 쥐는 더 길어지고 전기 충격을 받은 동료 쥐가 품은 공포에 대한 공감대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짐 [1] Sakaguchi, Tetsuya, et al. "Ethanol facilitates socially evoked memory recall in mice by recruiting pain-sensitive anterior cingulate cortical neurons." Nature communications 9.1 (2018): 3526.
    자폐와 장내세균과의 관계 연구

    자폐와 장내세균과의 관계 연구

    UCLA의 Sydney Finegold 교수팀은 자폐아 소화관 내 Clostridium perfringens 독소 유전자의 검출 연구결과를 2017년 6월 Anaerobe에 발표 [1] 위장 이상이 있는 자폐아군과 자폐증이 없고 위장 이상이 없는 통제군의 대변 표본에서 Clostridium 종과 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를 비교한 결과 위장 이상이 있는 자폐아군에서 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가 높게 발견. 파인골드 교수는 1980년대 후반부터 자폐와 장내세균의 관계를 연구 자폐가 있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장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음 장 문제는 대개 비정상적인 장내세균 때문에 발생하는데 자폐환자들의 장에는 클로스트리듐이 많음 [1] Finegold, Sydney M., et al. "Detec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toxin g
    D-사이클로세린의 자폐증 치료 연구

    D-사이클로세린의 자폐증 치료 연구

    UPenn의 Edward Brodkin 교수팀은 결핵치료제 D-cycloserine 자폐증 쥐 모델에서 사회적 결핍을 회복시킨다는 연구결과를 2017년 2월 Biological Psychiatry에 발표 [1] 자폐증은 뉴런 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Protocadherin 10 (PCDH10) 유전자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짐 PCDH10은 뇌의 발달과 신경 전달 물질이 방출되는 뉴런 사이의 연결점 인 시냅스의 유지에 관여하는 신경 세포 접착 분자 PCDH10 단백질은 편두통을 포함하여 특히 두뇌 영역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감정과 동기 부여를 중재하며 ASD의 사회적 결핍과 관련 PCDH10 유전자의 2개의 사본 중 하나가 결손되었을 때, 사회 접근 행동이 감소하고 NMDA 수용체의 특정 형태가 낮은 수준을 보임 D-사이클로세린은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표적으로하여 그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정신과 디지털 의료 솔루션 MENTAT

    정신과 디지털 의료 솔루션 MENTAT

    오츠카 제약과 일본 아이비엠은 정신과 의료에 대한 디지털 솔루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합작회사로 오츠카 디지털헬스 주식회사를 2016년 설립하고 MENTAT를 판매중 정신과 의료의 증상과 병력 등 중요한 의료 정보가 수치화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작성되고 축적되어 검색 및 분석이 어려워 방대한 데이터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디지털 헬스 솔루션 MENTAT은 오츠카 제약의 축적된 중추 신경 영역의 지식을 바탕으로 아이비엠의 자연언어 처리 및 기계 학습 기술을 활용 전자 의료 기록의 내용을 분석하여 치료 대상 환자의 치료 난이도 발표, 고립의 경험과 치료 중단 경험, 신체 합병증의 유무 등 장기 입원과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자동 추출하고 분석 결과를 그래프 등으로 제시 환자마다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내용을 명시하고 공유하는 것을 용이하여 퇴원을 앞당길 수 있고 퇴원 후도 환자의 요양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보육이나 방문 간호,
    페이션트 라이크미

    페이션트 라이크미

    PatientsLikeMe는 FDA와 협력하여 환자들이 생성한 건강 데이터를 규제기관의 코딩 관행과 일치시키기 위한 연구결과를 2018년 8월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발표 페이션트 라이크미는 Jamie Heywood의 동생이 루게릭 병에 걸리자 그의 형제들은 앞다투어 인터넷 검색으로 질환에 대한 정보를 찾았으나, 믿을만한 정보와 쓸만한 내용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고 환자가 중심인 환자들을 위한 SNS 플랫폼을 2004년에 설립 처음에는 루게릭과 같은 몇몇 희귀 질환만 다뤘으나, 60만 명에 달하는 회원 수를 가진 커뮤니티로 성장한 지금은 암을 포함한 각종 질병까지 모두 다루고 있는 중 이곳에선 환자들이 자기의 상태가 어떤 식으로 해서 호전됐는지 그리고 어떤 처방을 받았는지를 익명으로 공유하고 토론. 2008년 PNAS에는 리튬이 루게릭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됨 [2] 이에 페이션츠라이
    1
    23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19년 8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연구 동향 (228) 게시물 228개
    • 기업 동향 (226) 게시물 226개
    • 산업 동향 (43) 게시물 43개
    • 주요 인물 (99) 게시물 99개
    • 연구 기관 및 단체 (64) 게시물 64개
    • 특허 동향 (36) 게시물 36개
    • 임상 시험 (6) 게시물 6개
    • ASO
    • DNA
    • MRI (자기공명영상)
    • NMDAR
    • PET (양전자단층촬영장치)
    • 가소성 (plasticity)
    • 감정 (emotion)
    • 노바티스
    •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BCI)
    • 뇌과학연구
    • 뇌파 (EEG)
    • 두뇌훈련 (brain-training)
    • 루게릭병 (ALS)
    • 미국 국립보건원 (NIH)
    • 미국 국방고등기술개발 (DARPA)
    •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 바이오마커 (biomarker)
    • 상용화동향
    • 생물전자 (bioelectronic)
    • 생체리듬 (circadian)
    • 신경 보철 (neuroprosthetics)
    • 신경경제학 (neuroeconomics)
    • 신경자극 (neurostimulation)
    •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 영장류 (primate)
    • 오거노이드 (organoid)
    • 우울증 (depression)
    • 유전자 치료
    • 재활 (rehabilitation)
    • 줄기세포 (stem cell)
    • 치매 (dementia)
    • 카덴트 테라퓨틱스
    • 퇴행성 질환 (degenerative disease)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