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Consortium for Young Adulthood Depression (RC-YAD)

KAIST 의과학대학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전산학부, 서울대학교 의학과/ 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안암병원, 가천대학교 의학과/ 가천길병원

  • Research Consortium

    • KAIST 연구팀
    • 서울대 연구팀
    • 고려대 연구팀
    • 가천대 연구팀
  • Researchers

  • 연구 참가

    • Contact Us
    • Q & A
  • KNI

  • 뇌과학산업 동향

  • More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우울증과 알콜중독에 관련된 유전자 연구

    우울증과 알콜중독에 관련된 유전자 연구

    Yale의대 Joel Gelernter 교수팀은 우울증과 알콜중독에 관련된 유전자 연구결과를 2017년 10월 25일 JAMA Psychiatry에 발표 [1]. 알코올 의존증 (Alcohol dependence, AD)과 주요 우울증 (MD)은 주요 장애원인 중의 하나이며 빈번히 발생 AD가 MD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MD가 AD로 연결된다는 증거가 있으며, 공유 요소가 두 장애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킬 가능성도 존재 이 연구에서 4653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참가자의 샘플에서 SEMA3A에서의 AD와 MD 유전적 연관성이 발견되었으나, 3169명의 유럽계 미국인 참가자의 표본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음 SEMA3A는 축삭 유도 및 연결에 관여하는 막단백질로서 SEMA3A의 발현 변화는 중추신경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경 회로를 변화시킬 수 있음 이 연구는 AD와 MD 사이에 공유되는 유전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치료법 개발
    사회적 상호작용 Marker로서의 신경동기화 연구

    사회적 상호작용 Marker로서의 신경동기화 연구

    NYU David Poeppel 교수팀은 사회적 상호작용 Marker로서의 신경동기화 연구결과를 2017년 5월 8일 Current Biology에 발표 [1] 연구진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사회 행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학기 (11번 수업) 과정에서 12명 고등학생과 교사 1명의 뇌 활동을 동시에 기록하고, 수업참여도와 친밀관계등도 조사 수업 직전에 대면 대화를 나누고, 친밀도가 높은 학생들간의 뇌파 동기화가 높은 수준을 보였음 또한 전체학생들과 뇌파가 동기화될수록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음 이 연구는 뇌간 동기화가 사회적 상호작용의 Marker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1] Dikker, S., Wan, L., Davidesco, I., Kaggen, L., Oostrik, M., McClintock, J., ... & Poeppel, D. (2017). Brain-to-brain synchrony tracks real-w
    청각인지와 운동시스템의 관계 연구

    청각인지와 운동시스템의 관계 연구

    캐나다 McGill대 Sylvain Baillet 교수팀은 청각인지와 운동시스템의 관계 연구결과를 2017년 10월 2일 PNAS에 발표 [1] 연구진은 소리를 구별하는 데 운동시스템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 참가자들은 복잡한 음색 시퀀스를 듣고 기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거나 낮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제를 수행했으며, 이 과정을 뇌좌도(MEG)로 기록 MEG millisecond imaging은 왼쪽 감각운동 피질에서 오는 신경진동이 뇌의 청각 부위로 향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 진동은 관심의 다음 음색의 발생을 예상하여 발생 이 결과는 운동시스템이 소리가 발생할 때를 미리 예측하고 이 정보를 청각영역으로 보내 소리를 해석할 준비를 할 수 있음을 나타냄 운동시스템과 청각처리 사이의 연결에 대한 이 연구는 난청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및 재활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1] Morillon, Benjamin, and Sylv
    게놈 편집을 이용해 파킨슨병을 예방하는 유전자 연구

    게놈 편집을 이용해 파킨슨병을 예방하는 유전자 연구

    MIT Timothy Lu 교수팀은 파킨슨병에 관련된 단백질을 예방하는 유전자 연구결과를 2017년 10월 5일 Molecular Cell에 발표 [1] 연구진은 CRISPR 게놈 편집시스템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하여 특정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유전자를 스크리닝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α- 시누클레인 (alpha-synuclein)으로 알려진 파킨슨병과 관련된 단백질을 과잉 생산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효모 세포에이 기술을 배치. 파킨슨 병 환자의 뇌에 덩어리를 형성하는이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효모 세포에 독성을 보임 알파 뉴클레오타이드를 다량 생산한 인간 뉴런에서 인간의 등가물을 테스트한 결과, 인간 유전자가 α- 시누클레인에 의해 유도된 사망을 방어 할 수 있음을 발견 이 인간 유전자는 또한 알파 - 시누 클레인에 의한 사망을 막아 주었고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제로서 가치가 있다고 주장 [1] Chen, Y. C.,
    Prevail Therapeutics

    Prevail Therapeutics

    Silverstein 재단, REGENXBIO 와 OrbiMed 등이 파킨슨병 및 기타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으로 Prevail Therapeutics을 2017년 8월 설립 [1] Alector의 공동창업자인 Columbia대 Asa Abeliovich 교수가 공동창업자 및 CEO로 참여. Asa Abeliovich 교수는 파킨슨병과 관련된 유전자 (a-synuclein 및 parkin)의 돌연변이가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의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기전을 연구 Prevail은 REGENXBIO의 NAV AAV9 벡터를 사용하여 파킨슨병 및 기타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는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 및 상용화하기 위해 REGENXBIO와 독점적인 전세계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 REGENXBIO는 유전자 요법의 치료 가능성을 통해 생명을 개선하고자 하는 임상 단계의 생명공학회사임 Silverstein 재단은 2017년에 설립된 비영리조직으로 파킨슨
    Alector

    Alector

    글로벌 제약사인 AbbVie가 Alector의 면역신경 치료법에 2억 2500만달러 투자계획을 2017년 10월 24일 발표 [1] AbbVie는 Alector에 선불로 2억500만달러를 지불할 것이며 추가로 2000만달러의 주식투자를 통해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며, 신약 개발이 성공을 거둘 경우 양사는 이익을 균등 분배 Alector는 AbbVie Ventures의 포트폴리오 회사로 2013년에 Genentech 임원이었던 Arnon Rosenthal, Columbia대 Asa ​​Abeliovich 교수 및 Adimab 설립자 Tillman Gerngross 3인이 설립 Alector의 창립자들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치매 및 기타 질환에 관련된 많은 유전자가 면역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지적 면역체계가 신경퇴행성 질환에 관여한다는 증거는 최근 몇 년 동안 축적. 연구자들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된 특정 유전 변이체
    Rhythm Pharmaceuticals

    Rhythm Pharmaceuticals

    Rhythm Pharmaceuticals은 2017년 10월 5일 NASDAQ에 상장하고 700만주를 주당 17달러에 매각하여 1억 2천만 달러의 자금을 확보 (10월 24일 현재 시가총액은 6억 5천만 달러) [1] Rhythm은 에너지소비량 증가, 식욕감소를 통해 체중이 조절되는 핵심 생물학적 경로인 멜라노코르틴-4 수용체(melanocortin-4 receptor, MC4R) 경로 내에 유전적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만에 대한 치료제로 Setmelanotide를 개발 중 POMC결핍성 비만과 렙틴수용체 결핍성 비만에 대한 임상 2상 시험에서 Setmelanotide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공복감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 현재 리듬은 POMC 결핍성 비만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을 시작한 상태 FDA는 Setmelanotide를 POMC결핍성 비만에 대한 획기적 치료제로 지정한 바 있으며, 2017년 5월에는 이
    1
    2345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19년 8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연구 동향 (228) 게시물 228개
    • 기업 동향 (226) 게시물 226개
    • 산업 동향 (43) 게시물 43개
    • 주요 인물 (99) 게시물 99개
    • 연구 기관 및 단체 (64) 게시물 64개
    • 특허 동향 (36) 게시물 36개
    • 임상 시험 (6) 게시물 6개
    • ASO
    • DNA
    • MRI (자기공명영상)
    • NMDAR
    • PET (양전자단층촬영장치)
    • 가소성 (plasticity)
    • 감정 (emotion)
    • 노바티스
    •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BCI)
    • 뇌과학연구
    • 뇌파 (EEG)
    • 두뇌훈련 (brain-training)
    • 루게릭병 (ALS)
    • 미국 국립보건원 (NIH)
    • 미국 국방고등기술개발 (DARPA)
    •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 바이오마커 (biomarker)
    • 상용화동향
    • 생물전자 (bioelectronic)
    • 생체리듬 (circadian)
    • 신경 보철 (neuroprosthetics)
    • 신경경제학 (neuroeconomics)
    • 신경자극 (neurostimulation)
    •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 영장류 (primate)
    • 오거노이드 (organoid)
    • 우울증 (depression)
    • 유전자 치료
    • 재활 (rehabilitation)
    • 줄기세포 (stem cell)
    • 치매 (dementia)
    • 카덴트 테라퓨틱스
    • 퇴행성 질환 (degenerative disease)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