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vid Eagleman
John P. McGovern 보건 및 의학 과학 박물관은 David Eagleman 교수가 설립한 BrainCheck와 제휴하여 회원들이 무료로 뇌건강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고, 2017년 4월 24일 발표 [1] BrainCheck는 Baylor College of Medicine의 인식 및 행동 연구소 (Eagleman Laboratory for Perception and Action)에서 20 년간 수행 한 연구 결과 David Eagleman 박사는 혁신적인 neurocognitive 테스트로 뇌의 내부 작용을 이해하고 뇌 기능을 평가할 수있는 신뢰할 수 있고 비 침습적 인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 David Eagleman 교수는 베일러 의대를 거쳐 현재는 스탠포드 의대 교수로 재직중인 뇌과학자로 시간지각, 공감각 연구로 널리 알려졌으며, 현재 신경과학을 법학에 접목해 인간의 지각 및 행동, 결단을 연구하는 신경법학(neurolaw) 프로

Yumanity Therapeutics
Tony Coles와 Susan Lindquist 등 BT 분야의 저명인사들이 설립한 Yumanity Therapeutics가 신경질환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및 근 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분야의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음 [1] Tony Coles는 2008년 Onyx Pharmaceuticals를 8억 달러에 인수하여, 5년뒤인 2013년 Amgen에 104억 달러에 매각한 경험으로 제약업계 최고의 경영자로 평가 [2] 단백질 접힘 분야의 개척자인 Susan Lindquists는 미국 과학계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 과학 훈장(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을 비롯하여, 딕슨 의학상(Dickson Prize in Medicine), 오토-와버그 상(Otto-Warburg Prize), 미국 유전학회 메달, FASEB 과학 상(FASEB Excellence in S

음향 자극과 수면 개선
Northwestern 의대 Phyllis C Zee 교수팀은 뇌파 리듬과 동기화된 부드러운 소리 자극이 고령자의 수면 개선과 기억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연구 결과를 2017년 3월 8일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에 발표 연구의 참여자인 Giovanni Santostasi는 이 연구 내용을 상용화하기 위하여 특허를 출원하고[2] DeepWave Technologies를 공동 설립 [3] 2004년 설립한 Brain State Technologies는 신제품 Braintellect® 2 (B-2)[왼쪽 그림]을 출시 [4] Sleep Shepherd는 콜로라도 대학 교수인 Michael Larsons이 불면증에 걸린 딸을 위한 제품[오른쪽 그림] 개발로 2014년 창업 [5]. Rythm은 2014년 프랑스에서 창업하여 2016년 11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고 2017년 제품을 출시할 예정 Braintellect,

호흡의 진정 효과 기전
스탠포드 의대 연구원들이 뇌의 호흡기 계통에서 뇌의 각성을 유발하는 영역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뉴런 그룹을 확인하고 2017년 3월 31일 Science에 발표 [1] 이 뉴런들은 주의력, 각성과 관련된 두뇌 중심 인 좌골구에서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에 투사하고, 시냅스를 만들고, 긍정적으로 조절 이러한 세포의 제거는 정상적인 호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정상적으로 평온을 유지하게 함. 따라서 호흡이 뇌 기능에 직접적이고 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줌 [2] 호흡의 진정 효과에 대하여서는 이스라엘의 Benjamin Gavish가 RESPeRATE를 개발. 느린 호흡은 명상과 요가 같은 이완 기술의 핵심 요소이나, 의식적으로 느린 호흡을 하는 것은 교감 신경계 활동을 향상시키므로, RespeRate는 외부 리듬을 따르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경향을 이용하여 무의식적으로 느린 호흡을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 RESPeRATE는 호흡 패턴을 분석하고 실시간

Max Planck Florida Institute for Neuroscience
맥스 플랑크 플로리다 뇌 과학 연구소 (Institute for Neuroscience, MPFI)의 권형배 연구실(Hyungbae Kwon’s lab)은 고려대, 제네바대 및 뮌헨 맥스 플랑크 신경생물학 연구소 등과 협력하여 전례가 없는 공간 및 시간 정밀도로 신경 변조(neuromodulation)를 시각화하고 조작하는 감광(light-sensitive) 기술을 개발하고 Nature Methods에 2017년 4월 3일 발표 [1] i-Tango라 명명된 이 기술은 거의 10년전에 개발된 Tango 시스템위에 구축. DRD2-V2 꼬리 (V2 vasopression 수용체의 C- 말단) -CIBN-AsLOV2-tTA는 주요 플랫폼으로서 기능. 2개의 모듈이 함께 협력하여 TEVseq를 빛 또는 리간드와 반응하여 분해. 작용제에 의한 DRD2 활성화는 β-Arrestin2-TEV-N 융합 단백질 전좌로 유도되어 V2 꼬리에 결합. 다른 TEV-

Max Planck Institute for Experimental Medicine in Göttingen
신경과학에서 두뇌의 뉴런은 구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하여서는 상호 활발히 소통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 기존의 생각이었으나 괴팅겐 (Gottingen)의 막스 플랑크 실험 의학 연구소(Institute for Experimental Medicine) 연구진이 이와 다른 결과를 발견하고 2017년 4월 19일 Neuron에 발표 [1] 연구진은 유전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두뇌의 중요한 위치에 있는 뉴런들이 활발한 신호교환없이 정상적으로 구조화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연결할 수 있음을 보임 괴팅겐의 막스 플랑크 실험 과학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신경 과학 및 종양학에 대한 기본 의학 연구를 수행 [2] 과학자들의 목표는 신경계와 다른 기관의 병리학 적 장애뿐만 아니라 분자 및 세포 과정을 이해하는 것으로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는 자폐증 및 정신 분열증과 같은 정신 질환의 범위, 다발성 경화증 및 뇌졸중과 같은 신경 장애 또는 암에 적용될 수있는 새로운 진

항우울제 연구 개발 동향
우울증 치료제로 생체 아민(biogenic amine)을 조절하는 약제가 대부분을 차지해오고 있으나 낮은 치료 반응성과 지연되어 나타나는 치료 반응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케타민 등의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연구되어 왔음 [1] PFC의 시냅스 연결은 정상 회로 활동에 의해 유지되지만 BDNF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만성 스트레스 노출에 의해 감소. 케타민은 신속한 시냅스 생성 반응을 유발하는 글루타메이트의 폭발을 일으킴으로써 스트레스의 영향을 신속하게 되돌림. 이것은 NMDA 수용체를 발현하는 강장제 GABA 신경계 차단기 차단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음 [2] 미국 FDA의 획기적 치료제 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멀지 않아 정식 승인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획기적 치료제’는 2012년 의회를 통과한 FDA 안전성‧혁신법(FDASIA)에 근거조항이 삽입되면서 신설되었던 제도로 중증 또는 치명적인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해 단독요